반응형

필답형 25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22년 3회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답형 실기 불합격 후기

안녕하세요! 이틀 전에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 시험을 보고 후기를 쓰려 했으나, 카카오 판교 IDC 화재 사건으로 인해 티스토리가 먹통이어서 이제야 후기를 남깁니다! 2022년 3회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가 3번째 시험인데요, 2021년 3회차 시험에 56점, 2022년 1회차 시험에 45점을 받아 낙방하고 이번에는 꼭 합격하려고 열심히 공부하고 응시했습니다!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시험이 생소하신 분들도 있으실테니 간략하게 시험 소개를 해드리고 후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시험이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기사급 시험으로,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차례로 합격하게 되면 자격이 주어지게 됩니다! 2019년도 1회차 시험까지는 필답형+작업형이었는데, 2019년도 ..

[전자계산기조직응용] 2022년 1회 필답형 실기 기출문제 복원

1. 다음 논리식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 AB'CD' 을 간소화하시오 - AC + B'D' 2. 다음의 회로는 무슨 GATE를 나타내는가? (논리식과 회로명을 쓰시오) - (회로명) NAND, (논리식) Y=(A+B)' 3. 2입력 EX-OR(그림) 3개를 사용해서 4입력 EX-OR GATE를 구성하시오. (단, 전달지연이 가장 작게 구성하시오.) - 4. SPICE 모델을 통한 평가는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수행능력 수준 단계를 기준으로 하여 2차원으로 이루어진다. 즉 5개 프로세스 범주의 40개 프로세스에 대해 기본지침의 실행 여부와 산출물 유무로 판정한다. 프로세스 범주 중에 프로세스 9개로 구성되며, 개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에 관한 것을 다음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22년 제1회 필답형 실기 후기

안녕하세요! 필기합격 후 작년 3회차 실기시험을 56점으로 낙방하고 난 뒤, 올해 1회차 실기시험에 다시 응시했습니다!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시험이 생소하신 분들도 분명 있으실테니, 간략하게 소개 먼저 해드리고나서 시험 후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시험이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기사급 시험으로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차례로 합격하게 되면 자격이 주어지게 됩니다. 실기시험은 2019년 1회차 시험까지는 필답형+작업형이었는데, 2019년 3회차 시험부터 100% 필답형으로 바뀌게 되었죠! 따라서 PBT(Paper Based Test) 방식의 시험이며, 주관식 20문제를 2시간 이내에 풀어주시면 되고, 시험시간은 9시 30분~11시 30분까지, 시험 시간의 절반..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21년 제3회 필답형 실기 시험 불합격 후기

안녕하세요! ​ 지난번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시험에 이어서 필답형 실기를 보고왔습니다. ​ 간략하게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실기에 대해 소개해드리고, 시험후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시험이란? ​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는 한국산업인력공단(Q-net)에서 주관하는 기사급 시험으로, 필기시험, 실기시험 두가지를 응시하여 합격하면 자격이 주어지게 됩니다! ​ 실기는 PBT(Paper Based Test) 방식의 시험으로, 주관식 20문제를 2시간 이내에 풀어주시면 됩니다! 시험은 오전 9시 30분~11시 30분까지인데, 시험 시간의 절반이 지난 10시 30분부터는 퇴실이 가능합니다! ​ 2019년 상반기까지의 실기 시험은 복합형(필답형 80점, 작업형 20점)이었고 두 점수의..

[전자계산기조직응용] 2021년 3회 필답형 실기 기출문제 복원

1. 다음 C언어의 결과는? #include int main(){ int i=0; int sum=0; int a[5]; a[0]=20; a[1]=40; a[2]=60; a[3]=80; a[4]=100; for(i=0; i [전자계산기조직응용] 2020년 3회 실기 기출문제 복원 1. 다음 출력문을 작성하시오 class fact{ static int fact(int n) { if (n > 0) return n * fact(n - 1); else return 1;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x = 5; System.out.println(fact(x)); } - 5*4*3*2*1 = 120 2. 123.625를 각 2진수 it-utopia.tisto..

반응형